조현병이란 (원인 증상 치료)
조현병이란
2011년 개정된 말로 정신분영병을 뜻하는 말이 조현병이라는 말로 바뀌었습니다. 이전에 정신분열병이라는 말이 좋지않은 인식이 강해서 명칭이 변경된 것인데요 뇌신경이 조율되지 못할때 혼란을 겪는 환자 상태를 조현병이라고 조현병의 의미로 '조절할 조' '줄 현' 현악기의 줄을 고르게 해 준다는 뜻으로 조율이 잘 되지 않아 정신 신경계에 병이 생긴것을 뜻하고 있습니다.
조현병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어떠한 성격적인 문제나 마음의 병이나 의지가 약한부분에 의해 나오는 것이라고 생각을 많이 하는데요 조현병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나 치료가 없던 과거옛날에는 정신이상자로 취급만을 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조현병은 엄연한 뇌 질병중 하나로서 조현병의 유병률은 전 세계 인구의 1%나 된다고합니다.
조현병은 1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인 꽤나 젋은 층에서 발병하며 생각이나 감각 감정 행동등의 일상생활 전반에 오랫동안 영향을 끼치는 뇌질환으로 보고 있습니다.
조현병 원인
조현병의 원인은 뇌신경회로에 기능장애가 발생하여 생기는 뇌기능 장애 이며, 뇌기능에 주요 역할을 담당하게되는 도파민, 세로토닌과 같은 신경전달 물질 불균형에 의해서 발생하게 된답니다. 뇌의 특정부위에서 도파민 활성이 과다해지기 지삭하면 환각이나 망상등의 증상이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답니다.
가족력이 있다면 발생활 확률이 높아질 수 있으며 이유는 정신과 가족력이 있는 사람이 스트레스에 취약하여 과도한 스트레스에 노출이 되었을 경우 이를 제대로 해소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뇌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사회적 인식으로 성격이나 의지력의 문제, 귀신에 씌인병이다, 불치병이다 라는 오해가 쌓여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어버리면 증상을 악화시키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조현병 증상
의심이 많아지고 착시/착각을 자주 하게 됩니다. 우울감과 불안감, 긴장이 잦아지며 화를 잘 내게 됩니다. 식욕이 저하되거나 불면증이 생길 수 있으며 집중력/기억력 저하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대인관계에 있어 어려움이 생기기도 하죠.
조현병 증상 테스트
- 남들에겐 보이지 앟는 것이 나만 보인다
- 외모를 가꾸는 것에 무관심해 지고 표정이 없어진다.
- 주변에서 나에대해 수근거린다는 생각이 든다.
- 말수가 점점 없어지며 외부와 단절된 모습이 나타난다.
조현병은 급성기와 만성기로 나뉘게 되면 환각이나 망상으로 인하여 공격적인 언행이나 남들은 알아들을 수 없는 혼잣말과 행동을 하는 모습은 급성기에 속하며 , 조현병이 만성기에 이르게 되면 의욕이 없어지고 무관심과 감정표현이 없어져 대인관계가 전혀 되지 않고 사회활동이 없이 집에서 고립된 생활을 하게 됩니다.
조현병 치료
조현병 치료는 뇌기능 이상을 교정하는 약을 꾸준하게 복용하면서 망상 환각등의 증상을 사라지게 하고 생각화 행동이 정상으로 회복시키는데 힘써야 합니다. 하지만 치료가 늦어지게 되면 어떠한 작업이나 대인관계등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초기에 진단을 정확하게 하여 조현병이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조현병의 경우 약물치료를 통해서 꾸준히 치료를 하면 망상등의 증상은 사라지로 점점 회복할 수있겠지만 안심할 수는 없는 질병입니다. 재발의 가능성이 높을 뿐 아니라 재발이 거듭되면 만성으로 진행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에 꾸준한 치료로 재발확률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며 약을 평생 먹어야 할 수도 있으므로 정확한 치료시기를 단정짓기는 어렵답니다.
정확하고 꾸준한 치료를 통해서 사회생활이 가능하므로 꼭 정확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불치병이 아닌 약물치료를 통하여 증상을 관리하고 개선시키는 질환이기 대문에 어느정도의 조현병 증상이 보이는것과 같이 느껴진다면 꼭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하는것이 우선일 것 같습니다.